728x90

노트/커피와 카페 12

12. 다양한 커피 품좀 : 아라비카 내에서도 유명한 친구들

다양한 커피 품종들의 각기 다른 기후와 토양 조건에서 재배되며, 각 지역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하는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티피카 (Typica)특징: 티피카는 아라비카 커피 품종의 가장 전통적인 형태로, 균형 잡힌 맛과 부드러운 바디감이 특징입니다.재배 조건: 티피카는 해발 600미터에서 2000미터 사이의 고지대에서 잘 자랍니다.예시: 콜롬비아에서 재배된 티피카는 깨끗하고 깔끔한 맛을 자랑하며, 약간의 과일 향과 함께 카라멜과 같은 단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커피는 우아한 산미를 지니고 있어 많은 커피 애호가들이 선호합니다.추천 원산지: 콜롬비아2. 버번 (Bourbon)특징: 버번 커피는 티피카와 관련이 있는 오래된 품종으로, 달콤하고 부드러운 산미를 자랑합니다.재배 조건: 버번은 티피카와..

11. 물의 미네랄 함량과 경도가 커피 맛에 미치는 영향: 완벽한 추출을 위한 가이드

미네랄 함량과 물의 경도는 커피 추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요소가 커피 추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네랄 함량1. 칼슘적절한 칼슘: 적당한 양의 칼슘은 커피의 바디감을 향상시키고, 보다 풍부하고 균형 잡힌 맛을 제공합니다. 적정 수준은 50-100 ppm 정도입니다.과도한 칼슘: 칼슘이 너무 많으면 커피의 쓴맛이 강화되고, 텁텁한 맛이 날 수 있습니다.2. 마그네슘적절한 마그네슘: 마그네슘은 커피의 단맛과 과일 향미를 강조합니다. 약 10-30 ppm 정도가 이상적입니다.과도한 마그네슘: 마그네슘이 지나치게 많으면 커피가 지나치게 단맛이 나거나 떫은맛이 날 수 있습니다.3. 나트륨소량의 나트륨: 소량의 나트륨은 커피의 밸런스를 맞추고 단맛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

10. 커피 그라인딩 종류와 크기: 맛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커피 애호가들에게 커피 그라인딩은 최상의 한 잔을 만드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커피 그라인딩의 중요성, 그라인더의 종류, 그라인딩 크기, 그리고 최적의 그라인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커피 그라인딩의 중요성커피 그라인딩은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커피 원두는 그라인딩 후 추출 과정에서 물과 접촉하여 그 향과 맛을 발휘하게 됩니다. 그라인딩 크기가 적절하지 않으면 추출 시간이 맞지 않게 되어, 커피의 맛이 균형을 잃을 수 있습니다. 그라인더의 종류커피 그라인더는 크게 블레이드 그라인더와 버 그라인더로 나눌 수 있습니다.블레이드 그라인더블레이드 그라인더는 회전하는 칼날로 커피 원두를 자릅니다.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하지만, 일정한 크기로 그라인딩하기 어렵다는 단..

9. 로스팅 기법의 모든 것: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예술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로스팅(roasting)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로스팅은 커피 원두의 맛과 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으로, 이 과정을 통해 생두(green bean)는 우리가 즐기는 풍부한 향과 맛을 지닌 커피로 변신합니다.  로스팅이란 무엇인가?로스팅은 생두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커피 특유의 향과 맛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원두 내부의 화학 성분들이 변화하며, 각기 다른 향미 성분이 발현됩니다. 로스팅의 정도에 따라 커피의 색, 맛, 향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로스팅은 커피 제조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로스팅 과정 1. 준비 단계 (Preparation Stage)생두 준비 : 고품질의 생두를 선택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로스터에 투입할 준비를 합니다.로..

8. 커피 노트 : 향과 맛, 질감, 여운

커피 노트는 커피의 향과 맛을 세세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들입니다. 아래는 다양한 커피 노트를 향, 맛, 질감, 여운 등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정리해봤습니다.향 (Aroma)플로럴 (Floral)자스민, 라벤더, 로즈, 히비스커스 등프루티 (Fruity)베리류: 블루베리, 라즈베리, 딸기 등열대 과일: 망고, 파인애플, 파파야 등시트러스: 레몬, 오렌지, 자몽 등사과류: 사과, 배 등허벌 (Herbal)민트, 타임, 로즈마리, 세이지 등스파이시 (Spicy)시나몬, 정향, 카다멈, 육두구 등너티 (Nutty)아몬드, 헤이즐넛, 피칸, 땅콩 등초콜릿 & 카라멜 (Chocolate & Caramel)다크 초콜릿, 밀크 초콜릿, 카라멜, 토피 등우디 (Woody)삼나무, 참나무, 샌달우드 등어스 (Ea..

7. 커피 추출 : 핸드드립과 에스프레소의 차이

대표적인 커피 추출 방식으로는 드립 커피와 에스프레소가 있습니다. 각 방식은 커피의 맛과 향, 바디감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드립 커피추출 방식중력 기반 추출 : 뜨거운 물이 커피 가루 위로 부어지면, 물이 커피 가루를 통과하면서 커피 성분이 녹아 추출됩니다. 물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필터를 통해 아래로 떨어집니다.필터 사용 : 종이 필터나 메탈 필터를 사용합니다. 종이 필터는 커피의 기름과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어 깔끔한 맛을 주고, 메탈 필터는 더 풍부한 맛을 제공합니다.커피의 특징맛과 향: 부드럽고 섬세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커피의 원산지와 로스팅에 따라 맛이 달라집니다.바디감: 상대적으로 가볍고 깔끔한 바디감을 가지고 있습니다.추출 시간: 약 2~4분 정..

6. 원두 프로세싱: 네츄럴, 워시드, 허니 맛과 향을 결정하는 핵심 과정

커피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음료 중 하나로, 그 맛과 향은 많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 중에서도 원두 프로세싱은 커피의 최종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원두 프로세싱의 중요성원두 프로세싱은 커피 체리에서 씨앗(커피 원두)을 분리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커피의 산미, 단맛, 바디, 향미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잘못된 프로세싱은 커피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피 농부들은 각 프로세싱 단계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주요 원두 프로세싱 방법건식 프로세싱 (Natural Processing)건식 프로세싱은 가장 오래된 원두 처리 방법 중 하나로, 커피 체리를 햇볕 아래에서 건조시키는 방식입니다.특징 : 물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주로 물 ..

5. 대표적인 커피 블렌드

커피 블렌드는 여러 종류의 커피 원두를 혼합하여 다양한 맛과 향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1. 이탈리안 에스프레소 블렌드 (Italian Espresso Blend)구성: 브라질,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 원두 혼합특징: 풍부한 바디감, 초콜릿과 견과류의 풍미, 스파이시한 뒷맛, 강한 아로마설명: 이탈리안 에스프레소 블렌드는 강한 맛과 풍부한 크레마를 자랑하며, 이탈리아에서 전통적으로 즐기는 에스프레소 스타일입니다.2. 모카 자바 블렌드 (Mocha Java Blend)구성: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인도네시아 자바특징: 과일향과 꽃향이 어우러진 복합적인 맛, 무거운 바디감, 스파이시한 뒷맛설명: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블렌드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의 과일향과 인도네시아의 묵직한 바디감이 잘 어우러집니..

4. 원두 선택 방법

커피 원두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원산지원두의 원산지는 커피의 맛과 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산 아라비카는 꽃향과 과일향이 강하며, 콜롬비아산 아라비카는 초콜릿과 견과류 향이 풍부합니다. 각 원산지의 고유한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원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로스팅원두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 커피 맛이 크게 달라집니다. 라이트 로스트(Light Roast)는 산미가 높고, 미디엄 로스트(Medium Roast)는 균형 잡힌 맛을, 다크 로스트(Dark Roast)는 쓴맛과 묵직한 바디감을 강조합니다.라이트 로스트: 밝고 경쾌한 맛을 제공합니다. 과일향과 산미가 강하게 느껴지며, 원두 본연의 맛을 잘 살려줍니다.미디엄 로스트: 균형 잡힌 ..

3. 원산지별 커피 원두의 특징

아프리카 (Africa)아프리카는 커피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에티오피아와 케냐에서 생산되는 커피가 유명합니다.에티오피아특징: 에티오피아 커피는 고도 높은 지역에서 재배되어 복잡한 맛과 향을 가집니다.풍미: 과일향, 꽃향, 와인 같은 풍미.대표 지역: 예가체프(Yirgacheffe), 시다모(Sidamo).산미: 높음.바디: 중간에서 무거움.케냐특징: 케냐 커피는 강한 산미와 독특한 과일향이 특징입니다.풍미: 베리향, 감귤류, 와인 같은 풍미.대표 지역: 케냐 AA.산미: 매우 높음.바디: 중간에서 무거움.중남미 (Central and South America)중남미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커피를 생산하는 지역으로,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진 커피를 제공합니다.콜롬비아특징: 균형 잡힌 맛과 향으로 유..

728x90